독일에서 유학시 밥솥 문제

밥솥에 대한 질문이 계속 올라와서 케이터링, 워크샵, 그리고 키친클래스를 종종하는 입장에서 간략히 정보를 공유할까해요. 독일에서만 6년을 했습니다..

1. 냄비밥
물론 냄비밥 맛있습니다. 하지만 가스불이 아니라면 숙련자들도 조절하기 어려워서 종종 태워먹거나 설익게 되요. 그리고 가스불이라고 하더라도 다른 요리와 같이 하다보면 바닥 긁는 일이 왕왕 생깁니다.

2. 독일전기밥솥
독일 전기밥솥을 2년가량 써봤는데, 잘 알려진 Tristar 제품은 보이는 크기와 달리 500그람까지는 밥이 되는편이지만, 그 이상의 양을 하면, 위에는 설익고, 아래는 누룽지 비슷하게 됩니다. 이유는 독일전기밥솥은 아무래도 밀시라이스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죠. 사용기간이 길면 길수록 더욱 심해지는데, 바닥 부분은 누룽지라고 말하긴 애매모호하지만, 집에서 우리가 먹기엔 그런대로 괜찮아요. 물론 유럽 사람들 중에 누룽지를 아는 사람이 간혹 있고 좋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레스토랑에서는 절대 서빙 불가능해요.

온도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보온으로 바꾸는 센서 때문에 여러번 연달아 밥을 하면 설익는 빈도가 더 늘어납니다. 물론 일반 집에서는 손님들 많이 오실 때 말고는 걸 일이 없겠지만요. 가장 문제점은 사용기간이 지날수록 온도조절센서가 간혹 문제가 생기고, 가열하는 퓨즈가 자주 끊어져서 고쳐줘야 한다는건데요. 하도 갈다보니 1유로에 퓨즈 가는 법을 터득했지만, 여간 귀찮은게 아닙니다.. 저는 한번만 더 고쳐서 국 보관용으로 쓸까해요. 또 고장나면.. 그 때는 파괴기념 비디오라도 찍을까 생각 중입니다.

3. 한국밥솥
결국에 깨달은건 한국의 쿠쿠나 쿠첸같은 한국밥솥이에요.

– 전기밥솥은 아마 여기에서도 자취를 해보신 여러분들이 사용해보셨을텐데 자취하는 이들에게 딱 맞지만, 밥이 오래 보관되지 않습니다. 안에서 마르거나 물이 생기고, 깜박 잊고 며칠 집을 비우면, 밥솥 안에 새로운 은하가 만들어져있죠. 완전 밀폐되지 않기 때문인데, 혼자 자취하기에는 1~ 3인용 밥솥만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 압력밥솥, 역시 한국 압력밥솥이 최고입니다. 가스렌지에서 조리하는 압력밥솥은 독일에서도 팔지만, 여기서는 전기압력밥솥에 대해서만 이야기 드릴게요. 일본에서도 괜찮은 제품이 나오지만, 가격대 성능을 생각하면, 최고는 한국제품이라고 생각해요. 일본 사람들도 한국을 여행할 때, 쇼핑하는 것들 중 하나가 압력밥솥이기도 하죠.

– 가격, 여기서 사기에는 터무니 없이 비싸다고 생각했어요. 그렇다고 한국에 주문하자니 세금이 많이 깨지는거 아닐까하고. 결국 저는 12월 말에 한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10인용 최신 쿠쿠를 지릅니다. 친구 오는 편에 포장을 모두 풀어서 중고라며, 세금을 덜 내는 방법을 택했죠. 10인용 최신 쿠쿠를 12만원이 채안되는 가격에 구했습니다. 물론 저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이어서인데, 여러분이 사용하시면, 3~ 4인용만 사셔도 굉장히 편할거라고 생각해요. 가격을 비교해보면, 쿠쿠가 쿠첸보다 비싼데, 후기들보니까 쿠첸이 잔고장이 조금 있다고 하더라구요. 수리하려면 한국에 보내기 번거로워서 저는 그냥 쿠쿠를 질렀습니다. 선택은 여러분이..

결론. 한번 샀더니 진짜 밥맛이 달라졌습니다. 이제 밥하는걸로 스트레스 안 받아요. 몇 달만 사용하신다면 모르겠지만, 그냥 구매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한번은 일본 친구들과 커리 200인분의 케이터링 일을 할 때, 냄비 6개-가스불로 밥을 한 적이 있었는데, 하루 이벤트는 무사히 끝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평소 시간 여유가 있어도 쉐프들에게조차 매일 냄비밥 해먹으려고 하면, 자꾸 케밥이나 라면과 같은 인스턴트 음식에 손이 갑니다. 식비도 더 들고, 건강도 나빠집니다. 결국 기승전-한국압력밥솥이네요.

저도 몇 달 중고를 노렸지만, 살벌한 경쟁에 포기하고 말았습니다ㅠ 여러분께 도움되는 글이었길 바랍니다. 일하고, 혹은 공부 마치고 집에 와서 혼자 밥 먹는 것도 서러운데, 밥이라도 잘 챙겨먹어야 타지에서 아프지 않을 수 있지 않을까요. 시간이 좀 늦긴 했는데, 다들 맛있는 저녁 식사하세요!

정어리 – 94

SPEECHLESS, FUCK! HAVE NO TIME TO SAY WHAT I DOING NOW!
SHIT, EVEN I HAVE NO SPARE TIME TO SICK!
* missing child, missing child!

 

 

ㅡ 2016년 2월 24일, 아침 8시 반.

 

정어리 – 92

…어머니, 어머니께 묻고 싶습니다. 우리는 정말 주어진 대로만 살아야하는 걸까요? 주어진 운명을 거스르고 나의 인생을 내가 만들어갈 수는 없을까요? 상당히 호전적인 사람이기 때문인지 빌어먹을 운명따위 따르고 싶지 않아 나는 거스르기로 했습니다, 어려우면 손을 내밀어 주세요. 내 힘껏 손을 내밀게.

 

ㅡ 2014년 2월 10일, 바람소리가 거친 새벽 4시.

지난 열흘 동안 생각한 일들, 다시 기억하기

||: 지난 열흘 동안 생각한 일들, 다시 기억하기 :||
 
 
x. ☹ ㅡ 메갤: 메갤에 대해 마지막 정리글로 하여금 더이상 코멘트 남길 일이 없을 것 같다. 나는 워마드는 물론, 메갤을 더이상, 조금도, 페미니즘 운동의 일부로 여기지 않는다. 그렇게 믿고 싶었고, 나아가길 바랐지만, 메갤은 도리어 반여성주의적인 행동들을 보여왔으며, 여성의 권리 쟁취, 젠더 간의 수평적 사회를 바라기보다 여성의 권력화가 가장 주된 동력이었다. 반년 가까이 메갤을 보면서, 그들의 시작을 응원을 하고 싶었고, 그래서 비판적 지지를 보냈지만, 이제는 더이상 아쉬움도 남지 않는다. 더욱이 젠더학을 연구하는 선생님들이나 메갤을 매개로 ‘자칭’ 페미니스트로 활동하는 분들이 메갤에 대해 단 한마디의 비판도 하지 못하는 것에 크게 실망했고, ‘기계적 중립’, ‘피해자 중심주의’ 같은 유사과학 수준의 엉터리 수사학에 더이상 함께할 이유를 찾을 수가 없다. 나는 여기에 아무런 미래가 없다고 생각한다. 스스로 페미니스트가 되길 거부하며, 본인들의 권력화를 바라는. 심지어 그 마이너 사회, 가운데서 벌어지는 웃지 못할 권력투쟁, 혹은 인정투쟁, 이들에게 과연 소수자에 대한 인식이기나 한가 싶다.
 
 
x. ㅡ 함께 하는 것: 사유와 향유. 무엇인가를 할 때, 이 둘 중 한가지라도 빠졌다면, 그것은 온전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 둘 중 한가지에 심취하다보면, 자신이 만들어 놓은 세계를 맹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x. ㅡ 방법론: 직설화법은 대개 정치와 교육에서, 간접화법은 문화와 예술에서 온당하게 사용 되어야 한다. 만약 정치인이, 교육자가 직접적으로 무엇인가를 말하기보다 감상적인 수사를 다량 사용하는 화법을 구사한다면, 우리는 그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다른 경우로 아재의 풍유법, 알레고리. 그것들이 우리에게 핵노잼으로 다가오는 이유는 아재들이 간접화법을 가장한 직설화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우리가 같은 위치에 있어본 적이 없어도 이해할 수 있는, 이해하고 싶은 미생의 오상식 과장과 그를 자처하는 현실세계의 과장님. 반대의 경우로 이해가 가능한 것은 안티파들의 히틀러 풍자를 예로 들 수 있는데, 히틀러를 그대로 묘사하는 것 같은 직설화법을 가장하면서 파시스트들을 비꼬는 간접화법이 바로 그 예다. 때문에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아재들의 말들이 조금도 풍자적 비판으로 들리지 않는 이유는 이 아재들이 실제로 여성을 차별하거나 모멸감을 주는 행동을 구사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이고, 우리는 그러한 행동에 긍정하지 않기 때문. 미러링 또한 일시적일 때에는 간접적으로 풍자적 비판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이것이 일상화 될 때에는 더이상 간접적 풍자가 아니라 일상화된 폭력이 되어 버린다. 박근혜 대통령을 두고, 위안부나 되어버리라는 그런 믿기지 않는 농담들처럼.
 
 
x. ☹ ㅡ 바로 1년 전, 오늘과 같을 날을 맞이하기: 오한, 고열, 두통, 근육경련, 마른기침, 편도선염, 연하곤란, 구토, 괜찮은 척 수 편의 영화를 보다 기절하듯 잠에 들고나선 신들린 사람처럼 헛소리하며 잠에서 깨어나기. 이것이 지난 며칠간, 내가 한 모든 일.
 
 
x. ㅡ 나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을 대변하는 예술가가 될 수 없을 것 같다. 이들의 고통을 이해할 수 있지만, 왜 이들이 스스로를 고통으로 내모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이들이 정말 저 고통으로부터 어떻게 도망치는지 모르는걸까? “어쩔 수 없다”는 말로 스스로 고통을 우리의 원죄처럼 받아들이고 있는 것은 아닐까.
 
 
x. ㅡ Disease is not their weapon,
Our fear and our interests are their weapons: 우리가 해야할 일들은 서로를 억압하는 곳으로부터 도망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으로 들어가 그들의 정체성을 익히고, 그들과 함께 억업을 넘어서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들만의 축제에 도취되어서는 안된다. 그것이야 말로 압제자가 우리들로부터 원하는 것이다.
 
 
x. ㅡ 타인의 도덕을 저울질 하는 사람들: 진보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타인의 도덕을 저울질 하는 것을 보면 몸서리가 쳐진다. 타인의 사생활을 언급하는 사람들이 과연 누구의 이름으로 양심을 이야기할 수 있다는 말인가. 이런 사람들이 어떻게 오늘의 금기를 부수며, 자유를, 권리를, 다양성을, 예술을, 더 나은 내일을 이야기할 수 있단 말인가. 사람들에게 수치심을 안겨주는 것이 과연 세상을 변혁시키는 것이란 말인가. 경험과 위치, 기억, 느낌, 이러한 것들을 통해 우리가 무엇인가를 가늠하지만, 이러한 것들은 정비례하지도, 반비례하지도, 정합하지도, 부정합하지도 않는다. 두려워하는 사람에게는 새로움도 자유로움도 없다.
 
 
x. ㅡ 20대의 그 고민들, “나는 누구인가”: 직접 확인컨데.. 나라를, 대륙을 막론하고 절대 다수의 20대들은 “나는 누구인가”를 고민하는데, 거의 모든 시간을 보낸다. 사랑을 고백하고, 이별을 하고, 술을 마시고, 춤을 추고 집에 돌아가는 길에서조차. 이 시기의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스스로의 답이 앞을 결정한다. 심지어 예술가들까지도. 특히나 20대의 남성들은 세상 모든 것을 아는 80대 노인처럼 생각하고, 행동한다. 따라서 새로운 것을 찾으면서도 오랜 흥미를 못 느끼는 것처럼, 이미 아는 지루한 것처럼 여긴다. 마초적인 성향이 짙을수록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며, 방어적인 성향을 띈다. 서른 살이 넘어서랄까, 이러한 것들이 보이는 관점에서 이들을 볼 때마다 나오는 것은 William B. Yeats의 <A drinking song, 술 노래>(http://dx3.a-revolt.org/2016/01/22/william-b-yeats-a-drinking-song-with-korean-translate/)를 읊조리며 나오는 실소와 같을뿐.
 
 
x. 영화 <The Way We Were>, 1973: 3년 전, 썼던 리뷰를 다시 읽으며..
혼자 술잔을 홀짝이며, 영화를 보는 일은 너무 좋다. 먹먹함에 콧등이 시큰 거릴 때 혼자가 되어야만 마음껏 그 순간을 누릴 수 있으니까. 물론 사람들이랑 어울리는 것도 좋아하면서도 여전히 그것들에 의구심을 갖는다. 애써 긍정적인 사고를 하고, 여기저기에 감상을 남겨두기엔 난 충분히 긍정적 사고의 배신을 맛보았고, 나는 불온한 회의론자가 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래도 된다. 통속적이긴 해도, 그런 감상은 짧으니까. 그리고 새삼스럽지만 어제 친구들과의 밤마실 역시 좋았다. 낯선 것이 얼마나 좋은지 모른다. 낯설게 무엇인가를 대할 수 없다면, 그처럼 비통한게 또 있을까.
 
그런 느낌을 이어 보자면 나는 영화 ‘The Way We Were’, 1973. 응, 그래 이 영화를 보고 꽤나 찔끔거렸다. 물론 Barbra Streisand 때문에라도 다시 볼 이유가 충분했다. 의도와 상관없이 요즘 다시 보고 있는 고전들 중 썩 괜찮은 느낌. 극 중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는 학생운동을 하는 반전주의자. 아니 한술 더 떠, 프랑코 왕정의 폭거를 비난하고 소비에트를 열렬히 지지하다 못해.. 집 안에 레닌의 초상화를 걸어둘 정도의 혁명적 공산주의자. (물론 이 영화는 할리우드가 타겟이기 때문에 좀 물렁한 표현들이 있지만..)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인기 때문인지 이 영화에서도 흥행을 위해 애정전선이 한 부분을 자리 하는데, 이 부분이 다른 로맨스 영화들과는 엄연히 다르다. 해군장교이자 반정치적인 남자친구를 예술의 세계로 끌어내는데 힘을 주는 것과 그저 먹고 살기 위해 하는 안일한 삶을 선택하지 않고, 매카시즘이 미국을 강타하는 시대 속에서도 늘 힘겨운 투쟁 속에 있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물론 그냥 포기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남자친구와의 갈등. 이 것이 이 영화의 엔딩을 빛내 주는 중요한 요소인데, 사회변혁을 위한 운동과 사랑 사이에서 결국 헤어진 남자친구와의 우연찮은 재회. 남자친구는 결국 상업 예술 작가로서 다른 여자를 만나 안락한 삶을 추구하고,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는 끝까지 운동 속에 남아 혼자가 되었다. 여러분 끝까지 혁명을 추구하면 이렇게 됩니다. 나도 그런가 봅니다. 우왕ㅋ 이런 식의 끝맺음은 그리 나쁘지 않지.
 
 
x. ㅡ 지난 주 베르그하인, 클룹나핰트: 주문하지 않아도 기억해주는 바텐더. 펑크, 테크노, 그들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살리고, 또 죽였나를 생각하던 중 새로 만난 사운드 아티스트들. 새 작업, Urban Shamanism에 대해 이야기 하는 동안, 이 친구들은 흥미를 보이며, 당장이라도 샤머니스트가 될 수있다고 하였는데, 나는 1차원적으로 샤머니즘을 대입하여, 우리 스스로 샤머니스트가 것이 아니라 구조적 접근을 해야한다고 이야기 하였다. 이후 생각치 못했는데, 오히려 영감을 얻었고, 바로 잡아 고맙다며, 함께 작업하고 싶다 의사를 밝혀왔다.
 
 
x. ㅡ Reason of bike pants: 단벌신사. 언제나 검은 와이셔츠에 딱 붙는 나시, 넝마같은 커다란 크러스티 셔츠, 7부로 잘린 블랙진, 바이크 팬츠, 그리고 등산화. 그 중에서도 바이크 팬츠에 대해서 오해와 묻는 사람이 많아 이야기 해볼까 하면, 으레 사람들은 “저기, 죄송한데.. 왜 스타킹 신으시는거에요?”부터 시작해서 “조깅, 트레킹, 혹은 바이크 라이등을 좋아하시는군요?”까지 이어진다. 하지만 그것뿐이 아니다. 활동량이 많은 내게 바이크 팬츠가 조여주는 그 탄력감은 다리 근육을 조금 더 긴장되게 만들어주기 때문. 오해마세요. 가끔 여자친구들 파티에서 친구들 따라 치마를 입기도, 잘 벗기도 하지만, 스타킹은 아니랍니다.
 
 
x. ☹ ㅡ 빈곤한 삶: 우리의 주머니가 아니라 우리의 사상이, 사고와 철학이 빈곤해졌다는 것이 슬프게 한다. 서투른 것은 늘 괜찮다. 하지만, 목적으로 가기 위한 방편이 목적보다 중요시될 때, 우리는 목적과 더욱 멀어진다. 야구선수의 취미는 야구가 야구가 아니라 낚시이거나 야구와 다른 무언가들이다. 요리사의 취미는 요리가 아니라 역사이거나 또 다른 무언가들이다.
 
 
x. ☹ ㅡ 캐쥬얼 섹스, 다자간 연애: 보통 한국 사람들을 만나면, 다자간 연애에 대해 굳이 설명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오해 받는 것에 익숙하지만, 피곤한 것이 사실이기에 잠깐 이야기 해보자면, 다자간 연애를 한다고 해서 모두와 자고 싶거나 연애를 하고 싶은 것이 아니다. 다자간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거나, 캐쥬얼 섹스를 즐길 수 있는 그러한 관계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요즘 시쳇말로 케미도 있겠지만, 나는 우연성에 더 큰 부분을 두고 있다. 누구에게서나 느낄 수 있는 그것을 찾으러 다니지 않는다. 나는 나와 다른 사람과 만나 좀처럼 마주할 수 없었던 그런 것들을 나누고 싶다.
 
 
x. ㅡ 도발과 압도의 역사: 미명 속에 함몰 되지 않도록.
 
 
x. ☹ ㅡ 내가 화나 보였나요? 하지만 나는 그저 당신을 놓치지 않고 싶었을 뿐이에요.
 
 
x. ㅡ 사람들을 바라다보면, 그런 생각이 든다. ‘새로운 내일은 바라면서 어떻게 어제와 같은 내일을 살려하나.’, 그리고 작은 외침을 전해주고 싶다. “여러분 그에게 키스하세요, 그녀에게 키스하세요. 뭔가 어제와 다른 무엇인가라도 하세요.”
 
 
쓰기로 했던 글은 거의 마쳤거나, 아직 정리중입니다.

William B. Yeats – A drinking song with korean translate

A Drinking Song
술 노래

 

 

Wine comes in at the mouth,
술은 입으로 들고,

And love comes in at the eye;
사랑은 눈으로 드나니;

Before we grow old and die
우리가 늙어 죽기 전

That’s all we shall know for truth
알게 될 진실은 그 것뿐.

I lift the glass to my mouth,
나는 술잔을 입에 들고,

I look at you, and sigh.
그대 바라보며 한숨 짓네.

영화 리뷰: The way we were

 

시답잖은 영화 리뷰.

 

혼자 술잔을 홀짝이며, 영화를 보는 일은 너무 좋다. 먹먹함에 콧등이 시큰 거릴 때 혼자가 되어야만 마음껏 그 순간을 누릴 수 있으니까. 물론 사람들이랑 어울리는 것도 좋아하면서도 여전히 그것들에 의구심을 갖는다. 애써 긍정적인 사고를 하고, 여기저기에 감상을 남겨두기엔 난 충분히 긍정적 사고의 배신을 맛보았고, 나는 불온한 회의론자가 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래도 된다. 통속적이긴 해도, 그런 감상은 짧으니까. 그리고 새삼스럽지만 어제 친구들과의 밤마실 역시 좋았다. 낯선 것이 얼마나 좋은지 모른다. 낯설게 무엇인가를 대할 수 없다면, 그처럼 비통한게 또 있을까.

 

그런 느낌을 이어 보자면 나는 영화 ‘The Way We Were’, 1973. 응, 그래 이 영화를 보고 꽤나 찔끔거렸다. 물론 Barbra Streisand 때문에라도 다시 볼 이유가 충분했다. 의도와 상관없이 요즘 다시 보고 있는 고전들 중 썩 괜찮은 느낌. 극 중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는 학생운동을 하는 반전주의자. 아니 한술 더 떠, 프랑코 왕정의 폭거를 비난하고 소비에트를 열렬히 지지하다 못해.. 집 안에 레닌의 초상화를 걸어둘 정도의 혁명적 공산주의자. (물론 이 영화는 할리우드가 타겟이기 때문에 좀 물렁한 표현들이 있지만..)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인기 때문인지 이 영화에서도 흥행을 위해 애정전선이 한 부분을 자리 하는데, 이 부분이 다른 로맨스 영화들과는 엄연히 다르다. 해군장교이자 반정치적인 남자친구를 예술의 세계로 끌어내는데 힘을 주는 것과 그저 먹고 살기 위해 하는 안일한 삶을 선택하지 않고, 매카시즘이 미국을 강타하는 시대 속에서도 늘 힘겨운 투쟁 속에 있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물론 그냥 포기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남자친구와의 갈등. 이 것이 이 영화의 엔딩을 빛내 주는 중요한 요소인데, 사회변혁을 위한 운동과 사랑 사이에서 결국 헤어진 남자친구와의 우연찮은 재회. 남자친구는 결국 상업 예술 작가로서 다른 여자를 만나 안락한 삶을 추구하고,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는 끝까지 운동 속에 남아 혼자가 되었다. 여러분 끝까지 혁명을 추구하면 이렇게 됩니다. 나도 그런가 봅니다. 우왕ㅋ 이런 식의 끝맺음은 그리 나쁘지 않지. 어쨋거나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를 재해석하는 duck sauce의 노래 하나: http://www.youtube.com/watch?v=9M55_JuOrZc

 

잡스러운 기억을 뒤로하고, ‘Murmur Of The Heart’, 1971. 이건 시바ㅋ 욕을 안 할 수가 없게 근친상간까지 담고 있으면서도 뭔가 선정적이라던가 더러운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 작품이다. 그리고 ‘Passion Play’, 2011. 고전이 아니지만, 미키 루크를 좋아하는 한 명의 팬으로서 그의 노년 연기에 감탄. 이 사람이 청년에서 노년으로 넘어가기 전, 중년 시절 그렇게 마음 고생을 하고 방황하지 않았다면 이런 연기가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Jim Jarmusch의 ‘Coffee and Cigarettes’, 2003. 이 영화도 고전은 아니네?ㅋㅋ 아무튼 나는 사실 흑백 필름을 굉장히 싫어했다. 고전적이라기보다 상투적인 느낌이라.. 그래서 사실 이 영화가 나왔을 때도 굉장히 싫어했다. 어디 구석에 쳐박아 둔채 보지 않다가.. 다시 본 느낌이란… 뭐 이런 연출이 유행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는 없지만, Tom Waits와 Iggy Pop의 겉도는 대화는 그냥 좋았다. 왜냐면 내가 그 둘을 이유없이 좋아하니까.

 

 

ㅡ 2013년 1월 19일
뒤로 재껴놨던 30~ 50년대 영화들도 다시 보는데, 예상 그대로 였지만 다시 봐두면 좋다는걸 확인.

워마드-아웃팅 프로젝트 범죄에 대한 dx3의 입장

+ 워마드 아웃팅 프로젝트 관련: 아웃팅은 증오범죄, 인격살인, 개인정보유포, 명예훼손 등의 범죄이며, 미연방법원은 물론 대부분의 국가에서 범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방송통신법, 개인정보유포, 명예훼손으로 민형사상 처벌을 받습니다. 프로젝트 같은 소리 마시고, 워마드의 아웃팅에 참여하는 사람, 그리고 이 아웃팅을 반대하는 사람에 대해 신상을 캐서 공개하면, 그 분들의 범죄에 대해 모두 신고하여 수갑 채워드릴 생각입니다. 벌금으로 끝날거라고 생각마세요. 수갑 차고서 선처를 구하실 때는 이미 늦습니다. 본인이 하고 계신 일이 약자에 대한 범죄라는 것을 인지하시길.

+ 메갤의 입장: 메갤도 이 문제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메갤과 워마드는 시작을 같이한 동지적 관계고, 약간의 방법론적 차이만 있을뿐, 이 범죄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범죄를 방관하게 되는 셈이 됩니다. 메갤이 페미니즘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을 하고, 스스로 페미니스트가 되길 바란다면, 이 문제에 대해서 워마드에 선 긋는 것 이상으로 워마드의 범죄 행위를 방관하지 않는 행동을 해야 합니다.

+ 메갤의 반여성주의적인 아이디어들에 대한 제 비판에 대해 ‘메갤은 운동이 아니다’라거나 ‘메갤 일부의 문제일 뿐이다’라고 항변하신 분들 지금이라도 한번만 다시 생각해보세요. 메갤이 정말 페미니즘인지, 왜 비판할 수 없는지. 그 일부가 지금의 범죄를 모의하는 집단, 워마드가 되었고, 그 문제가 메갤에서 떨어져나간 워마드로 끝날 문제라고 생각하시는지. 이게 끝일거라고 생각하시면, 제가 드릴 말은 “이제 운동에 첫 발을 들이신 것을 환영합니다.” 밖에 없군요.

메갤, 그리고 pc도착증

 

오케이큐피트를 보다가, 또 페이스북에서 일어나는 pc, 메갤에 대한 논쟁을 보니 생각나는 사람들이 있다.

Political Correctness에 대해서는 내가 6년 전, 베를린에 처음 와서 활동가들, 펑크들과 만났을 때부터 주로 다루던 이야기인데, 그 필요성, 중요성, 당위성에 대해서는 말할 것도 없다.

하지만, 한국은 물론이거니와 독일, 스웨덴 등, 국가를 막론하고, 운동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된 ‘어린 친구들’ 사이에서 pc에 과도하게 집착하고, 경쟁적으로 다가서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한 용어는 없지만, 나는 베를린서 이에 대해 처음 논의하던 때부터 일종의 ‘자위’, ‘pc도착증’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이 젊은 친구들을 설명하곤 했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한국만이 아니라, 독일 안티파 시위에서도 보인다. 10대~ 20대 초반의 젊은 친구들이 시위에서 계획된 시위들을 무시하고, “경찰, 이 돼지, 나치, 파시스트놈들 다 죽여버린다”면서 거꾸로 솓는 젊은 피를 주체하지 못한 채, 정의감에 불타 투석전, 화염병을 던진다. 물론, 투석전과 화염병이 전략상 필요할 때도 있지만, 이 어린 친구들은 그걸 놀이문화로 소비한다. 이들을 단순 폄훼할 생각은 없지만, 꾸준히 싸워온 친구들도 아니며, 이제 연대한지 고작 1~ 2년 뿐이 안 되어, 운동의 역사는 물론, 방향도 이해하지 못한채 ‘보수주의자들만 없으면 세상은 지금보다 나아질 것이다’라고 단순하게 믿는 친구들이다.

시위에서만이 아니다, 평소에도 ‘반자본주의’와 ‘혁명’이라는 단어를 수시로 언급하는 이들의 방에는 제 3세계 국가의 아동들을 착취해 수익을 올리는 다국적 기업들의 제품들이 때묻지 않은 채있고, 그 중 몇은 나이키 신발을 쓰레기통에 넣는 것으로 혁명에 가까워졌다고 착각하기 일쑤, 또한 부모님을 마치 ‘보수, 괴물, 꼴통’으로 그려넣기도 일쑤다. ‘나이키 대신 반스(Vans)를’ 소비하는 것을 지적한 Joseph Heath와 Andrew Potter가 <The Rebel Sell: Why the Culture Can’t be Jammed>에서 밝힌 반문화와 크게 다를 것 없는 레토릭으로 소비된다.

이에 독일 안티파는 일찍이 “War starts here” Camp 등을 통해 시위에서 투석전, 화염병을 던지는 것 이상으로 나 스스로부터 바뀌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 해왔다. 하위문화 등을 통해 문화담론을 통해서도 저항적인 삶들을 소개해왔다. (한국의 많은 좌파들이 막연히 기성제품-대중문화를 소비하고 있다는 것이 이런 점에서 부족하다) 그리고, 운동이 하위문화와 만났던 뜨거운 80년대 이후, 90년의 3세대 페미니즘과 함께 대중문화에서도 운동의 두각을 드러냈으며, 더 많은 지지자들과 연대를 하게 되었다.

다시 ‘메갤 이후 페미니스트를 선언한 분’들, 마치 ‘외로이 세상을 변혁 시키고 있다’며 정의감에 불타 계신 분들의 문제로 돌아와서 생각해보자.

지금의 메갤이 그다지 새로운 일도 아닌 것은 2008년 여시, 밀덕, 그리고 진중권-진보신당 등등 여러 주체가 급격히 관심 받으며, 확산된 촛불집회에서 전례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앞에 거론된 주체보다 더 큰 곳에서 “독재타도, 이명박은 하야하라”를 외친 ‘꼬꼬마’들은 셀 수도 없이 많았다. 처음은 마치 대한민국이 뒤집혀, 혁명이라도 일어날 것 같았다. 하지만, 다들 기억하듯, 2008년의 그 일은 차후에 일베의 시발점이 되었다.

본인들께서는 이성적이고 냉철한 ‘청년활동가’라고 믿는데, 내 눈에는 ‘인권감수성’ 같은 수사에 경도된 감성적이신 분들일 뿐이다. 이 분들의 레토릭은 노인층의 보수성 운운하다 대선 빠이빠이한 정동영이나 며칠 전의 문재인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단순히 새누리당 때려부수고, 여혐종자들 때리면, 대한민국에 좌파가 집권하고, 여혐이 사라질거라고 믿는 존~~~나 단순한 친구들. 그게 그렇게 간단했으면, 왜 세상이 이모양, 이꼬라지라고 생각하는지 물어보고 싶다.

온라인에서 세월호 리본을 달고, 프랑스 국기를 걸고, 무지개 프로필을 장식하고,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 소개하고, 여혐에 반대한다며, 남성을 조롱하는 농담들, 짤방들을 올리고 낄낄거리고, 남성은 잠재적 가해자니 조심해라, 남성은 페미니스트가 될 수 없다, 여성의 말에 ‘우선적으로’ 귀기울여라라고 말하는 것, 그저 ‘반자본주의’, ‘혁명’이란 단어를 외치는 것만으로 세상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까? 너무 나이브한 것은 아닐까?
당신 부모 세대, 68세대만 하더라도 싸이키델릭 음악에, 애시드, 대마를 피우며, 사랑으로 모든 것을 극복할 수 있다며, 나체로 뒹굴고, 시위에서 경찰들에게 꽃을 건내주었고, 때로는 연행 되었다는 것을 기억하는지, 그런데도 왜 이 세상은 이모양인 것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면 안 될까.

오케이큐피트, 그 데이트 웹사이트를 왜 연관짓냐고? 나는 이 데이트 웹사이트를 종종 이용하는 편인데, 그 중의 어떤 사람들이 요즘의 어떤 사람들과 정확히 겹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오케이큐피트에서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에 거주하며, 사회불평등 이슈에 관심을 두고 있고, ‘베를리너를 희망하는 미국인’이라고 밝히는 것과 ‘메갤 이후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 부르는 사람’들이 놀랄만치 같은 레토릭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Christian Lander가 <Stuff white people like>에서 말한 ‘도덕적이고 진보적인 백인으로 이해되고 싶어 그러한 백인 문화를 소비하는 백인’과 ‘도덕적이고 진보적이며, 보수적인 한국 문화를 비판할 줄 아는 이성적인 한국인’으로 인정받는 것, 그 둘 모두 그 좁은 세계에서만의 도덕성을 확보해 쿨해지고 싶어하는 힙스터이기 때문이다. 이 들의 바람은 힙스터, 그 자체로 현실세계에서 그 이미지로 소비되길 바라는 것이지, 실제 변혁이 아니기 때문.

만약 실제 변혁을 바란다면, 그 소비하는 이미지에 대한 재고가 진작에 있었겠지. 오직 주어진, 한정된 미디어 소비를 통해 “Sex, Drug, and Rock’n Roll”를 외치는 록스타 워너비는 향유자가 아니라, 소비자일뿐이다.

아무튼, 나는 1월, 50 Weapons의 마지막 공연과 Siouxsie & The Banshees를 만나러 갈 것이라네. 그리고 혹여라도 오케이큐피트에서 날 만나면, 가볍게 말을 걸어줘.

메갤, 워마드 그리고 아웃팅 프로젝트라는 이름의 범죄

지금 워마드의 아웃팅 프로젝트는 인격살해를 모의하는 범죄에 불과하고, 이에 참여는 하지 않지만, 이들의 방관하는 메갤러들 모두, 이 범죄의 공모자나 마찬가지다.

이 일의 심각성을 느끼게 된 것은 dx3에서 ‘성소수자를 때리며, 분열된, 혹은 붕괴된 매갤이 할 수 있는 일’의 글에 게이를 아웃팅 시키는 일이 정당하다는 논지의 반론이 다긴 댓글 때문이다. 이 사람의 논조는 마치 이슬람 극단주의자가 자신의 테러를 성전으로 포장하는 것과 꼭 닮아있다.

게이를 아웃팅 시키겠다는 이 프로젝트는 2세대 페미니즘 중반, 80년대에 페미니즘이 모든 약자와의 연대를 외치며, 녹색운동, 성소수자, 반전운동과 합류했던 역사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에 불과하다. 어째서 메갤과 관련된 사람들 중 많은 수가 페미니즘 투쟁사를 거스르려하는지 왜 반여성주의적인 아이디어를 아무렇지도 않게 내놓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다. 또한 투쟁에 대한 이해 없이, 아무 맥락 없이 아무때고 pc함에 도착증적으로, 경쟁적으로 다가서는 행동에 가슴을 칠 뿐이다.

이런 분들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100년 전, 맑시스트-페미니즘 선전물에 도취된 것 같은, 이러한 소영웅주의는 레닌이 꺼냈던 ‘좌익소아병’마저 떠오를 수 밖에 없게 만든다.

대체 이들이 어떠한 자격으로 타인을 심판하겠다는걸까. 대체 무슨 권위로, 권력으로 타인의 인격살해를 도모하시겠는걸까? 그러고도 이들이 여성의 권리를 외칠 수 있다는 말인가? 메갤 이후 너도 나도 페미니스트를 선언한 사람들이 스스로 페미니스트가 되길 거부하면서, 여성의 권력화를 통해 헤게모니를 장악하려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정말 사람들이 모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일까. 이런 이들이 자신들의 가해를 정당화 시키기 위해 필요한대로 페미니즘의 언어를 가져다 쓰지만, 그것은 결코, 결코 페미니즘이 아니다.

물론 이들에게는 나의 우려와 의견에 철저하게 반대할 권리가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이들에게 다른 사람의 인격을 살해하고, 인생을 파멸로 몰고가는 심판할 권리가 없다.

아웃팅은 증오범죄로 미국 연방법원(http://goo.gl/PWjYFm)은 물론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에서에서 범죄로 다루어지고 있다. 대체 어느 페미니즘 운동가가 어떤 논리로 아우팅을 운동으로 규정한단 말인가.

한국에서는 법이 다르다고 할텐가? 한국에서도 타인의 개인정보를 동의 없이 유포하는 것은 ‘개인정보보호법'(http://goo.gl/XRfF61 / http://goo.gl/3kvOkh)에 위배되는 중대한 범죄다. 지금 아웃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조만간 경찰서에서 수갑차고 선처를 구하실 것이다. 개인정보유포는 알권리와 하등 관계가 없는 범죄일뿐이기 때문이다. 2015년에 폭스파이어가 재현된다는 사실이 슬프다고 해야할까. 우리의 갈 길은 얼마나 먼 것일까.

x.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행위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9조(비밀 등의 보호)[1]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에 의하여 처리·보관 또는 전송되는 타인의 정보를 훼손하거나 타인의 비밀을 침해·도용 또는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49조의2(속이는 행위에 의한 개인정보의 수집금지 등) ① 누구든지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속이는 행위로 다른 사람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다른 사람이 정보를 제공하도록 유인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제1항을 위반한 사실을 발견하면 즉시 방송통신위원회나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하여야 한다.
③ 방송통신위원회나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제2항에 따른 신고를 받거나 제1항을 위반한 사실을 알게 되면 다음 각 호의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위반 사실에 관한 정보의 수집·전파
2. 유사 피해에 대한 예보·경보
3.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접속경로의 차단요청 등 피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긴급조치

제71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22조제1항(제67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이용자의 동의를 받지 아니하고 개인정보를 수집한 자
2. 제23조제1항(제67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이용자의 동의를 받지 아니하고 개인의 권리·이익이나 사생활을 뚜렷하게 침해할 우려가 있는 개인정보를 수집한 자
3. 제24조, 제24조의2제1항 및 제2항 또는 제26조제3항(제67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한 자 및 그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
4. 제25조제1항(제67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이용자의 동의를 받지 아니하고 개인정보 취급위탁을 한 자
5. 제28조의2제1항(제67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훼손·침해 또는 누설한 자
6. 제28조의2제2항을 위반하여 그 개인정보가 누설된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
7. 제30조제5항(제30조제7항, 제31조제3항 및 제67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아니하고 개인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용한 자
8. 제31조제1항(제67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받지 아니하고 만 14세 미만인 아동의 개인정보를 수집한 자
9. 제48조제2항을 위반하여 악성프로그램을 전달 또는 유포한 자
10. 제48조제3항을 위반하여 정보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게 한 자
11. 제49조를 위반하여 타인의 정보를 훼손하거나 타인의 비밀을 침해·도용 또는 누설한 자

dx3는 사상의 자유를 갖지만, 약자에게 가하는 모든 종류의 폭력과 차별에 동의하지 않는다. ‘야내가메퇘지’가 남긴 댓글의 아이피는 내가 갖고 있지만, 그 정보를 전제로 신고한다거나 불법적인 추적을 하진 않을 것이다. 다만 나로서는 이러한 ‘계획적 범죄’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다.

날더러 ‘구태 페미니즘’이니 말같지도 않은 악담을 하는데, 당신이 ‘구태 페미니즘’이 무슨 뜻인지는 알았으면 좋겠다. 당신이 비웃는 그 페미니즘 투쟁의 역사를 통해 많은 이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여성에게는 투표권조차 주어지지 않는 2등 시민에 불과했다. 조금도 고민 해보지 않았으니, 지금 고작 반년 간의 메갤 가지고 성취감에 도취되어 무엇이라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당신들, 당신들이야 말로 여성권리의 적들이다.

이들이 지금 ‘계획적 범죄’를 모의하고 있다는 심각한 사실을 인지하길 바란다. 범죄를 계획하고, 모의했다면, 그 때부터는 우발적 범죄에 대한 정상참작의 여지는 조금도 주어지지 않고, 오히려 중범죄로서 가중처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