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하위문화

2년 전에 쓴 글이지만, 오늘 읽어도 대개는 유효합니다. 다시 정리해서 기사로 만들고 싶었지만, 깅밍주 도랏나ㅡ 서퍼(surfer)들이 파도에서 떨어져 다시 다음 파도에 기어오르고, 보더(boarder)들이 다시 널판지에 올라 바퀴를 굴리고, 소음민원신고에 출동한 경찰들에게 보란듯이 다시 쿵쾅거리는 음악에 몸을 맡긴는 레이버들처럼, 주먹을 허공에 휘두르고 윽박지르며 무대를 구르는 펑크들처럼 지내느라 바빴습니다. 다들 잘 지내시나요?

 

 

 

최근 한국에서 연속되는 페미니즘 이슈들을 보면서 남/녀 페미니스트 친구들을 중심으로 여러 이야기를 나누었다. 왜 그런지 모르겠는데, 내 주변 친구들은 대부분 독일, 스웨덴 친구들이다.

0. 그러던 중 1) 80년대부터 90년대 하위문화가 어떻게 페미니즘을 지원했고, 2) 펑크, 하드코어라는 하위문화가 어떻게 문화정치운동으로 번져가며 3) 밴드 L7, Bikini Kill, The Julie Ruin, Le Tigire 등의 ‘Riot Girrrl’ 밴드들의 탄생과 4) 영화 <Tank Girl> 등의 전방위 문화적 운동이 불을 지폈으며, 5) 이후 어떻게 펑크, 하드코어의 지지를 받으며 ‘Riot Girrrl’ 무브먼트가 탄생했는지 6) 그것이 어떻게 오늘 Femen과 Pussy Riot까지 이어졌는지 전혀 모르는 한국 페미니스트들이 엄청나게 많다는 것을 보면서 한숨이 밀려왔다. 이들은 대중운동을 한다면서도 문화담론에 대해서 전혀 이해를 하고 있지않음은 물론이거니와 아직도 100년 전 페미니즘 담론으로 여성을 피해자의 구도로 두고 있는 듯하다. 때문에 Hate speech와 Sexism 사이의 경계도 잘 인식하고 있지 못하는 것 같다.

0-1. 한국 운동권의 경향 자체가 말로는 인터네셔널 연대를 이야기 하고 있지만, 사실은 북미와 유럽의 서구 세계를 동경하는 수준에 머물기 때문인 것 같다. 실제로 둘 간의 교류조차 없기 때문에 한국의 운동권들이 서구 활동가들을 만나 제대로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거나 유럽에서의 운동 경향을 실제로 파악하고 있지도 못하다. 유럽에서 공부하는 진보정당 당원 유학생들이 “오오.. 유럽의 복지제도…”하면서 찬양하고 있는걸 보면 정말 화가나서 미칠지경이다.

0-2. 페미니즘 이야기도 마찬가지다. 저열하기 짝이 없는 송민호의 랩을 보면 “내가 널 따먹을거야” 수준의 섹시즘, 그러니까 상대가 원치 않는데도 성적 대상화와 스테레오 타입으로 성 역할(Gender Roles)을 고착 시키는 무례함 혹은 편견과 차별적 시선이라고 볼 수 있는데, Hate Speech랑 연결 시키는 것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다. 사실 송민호의 랩은 조금 더 자극적이다는 면을 예외로 두면, 싸이의 강남 스타일에서 보여진 것과 다를바 없는 섹시즘일 뿐이다. 난 싸이 강남스타일도 같은 이유에서 정말 싫어한다. 내 주위의 독일 친구들도 가사 내용을 알려주니 다시는 강남스타일을 부르거나, 춤을 추지 않게 되었다.

“낮에는 따사로운 인간적인 여자
커피 한잔 여유를 아는 품격 있는 여자
밤이 오면 심장이 뜨거워지는 여자
그런 반전 있는 여자
나는 사나이 낮에는 너만큼 따사로운 사나이
커피 식기도 전에 원샷 때리는 사나이
밤이 오면 심장이 터져 버리는 사나이 그런 사나이”
ㅡ 강남스타일의 가사 中

0-3. 섹시즘과 헤이트 스피치는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으면서도 다르다. 또한 섹시즘과 성적 농담 또한 다르다. 이들에게 동일한 도덕적인 잣대를 들이댈 수 없는 것이 그 성격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내 이름을 두고 이름 속에 담긴 뜻이 믿기지 않는다며, “만약 내가 너와 섹스를 했으면, “난 어젯밤 민주주의와 잠자리를 갖었어”라고 할 수 있는거지?” 하고 까르르 웃는 내 주변의 독일, 스웨덴 등의 유럽 여성 페미니스트 친구들은 모두 날 성희롱 한 것이므로 나는 이 페미니스트 친구들에게 성희롱에 대한 공개 사과를 요구 해야하는 것일까?

1. 아무튼 이러한 인식의 부재는 다음과 같은 일들의 불이해로 이어진다. 실제 유럽에서는 펑크-아나키스트들과 안티파들이 Femen과 Pussy Riot에 대해 지지를 하지만, 방법론에서 이견이 있음을 한국 페미니스트들이 전혀 알지도 이해하지도 못하고 있다는 것말이다. 아마 Pussy Riot에 대한 이러한 언급은 한국어로는 처음 서술 되는 것일텐데, 실제로 Pussy Riot의 경우는 러시아 내의 아나키스트들 사이에서도 Pussy RIot의 멤버 중 한명이 ‘아방가르드 아트’를 위시로한 퍼포먼스에 대한 이견들이 있다. (그들에게 연대를 안하겠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가장 이견이 갈리는 퍼포먼스 두가지 중 한가지가 슈퍼마켓에서 냉장통닭을 자신의 보지에 집어넣는 것을 촬영하며 나오다가 슈퍼마켓 점원에게 절도를 근거로 붙잡히면서 여성주의 구호를 외치는 행위와 러시아 정교회가 예전에 비해 성소수자나 여성에게 우호적인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던 분위기에 정교회로서 받아들일 수 없는 무리한 퍼포먼스로 오히려 적대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내며 다른 활동가들도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내용을 내게 전해준 당사자는 러시아 아나키스트 씬 내의 갈등이 외부로 나가 운동의 결속력이 약화되는걸 걱정하면서도 Pussy Riot의 방법론에는 굉장히 회의적이었다)

2. 지금의 상황은 데이비드 트렌드가 언급한 ‘Leftist Economics, 좌파 경제주의’를 상기시킨다. 좌파들은 오직 경제적 관점으로만 계급에 몰두하는 자세로 대중운동에 임하면서 범-개혁,·진보 진영 내부에서조차 충돌을 유발하는 것과 같다.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대중운동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이는 범-좌파는 물론이고 진보진영에서조차 만연히 일어나는 현상이다. 데이비드 트렌드는 좌파들이 오직 경제적 관점에서 계급 투쟁에 몰두하는 것에 대해 굉장한 불만을 표출했는데, “트렌드는 좌파들의 그런 경향이 좌파를 많은 잠재적 동맹자들로부터 고립시켜왔을 뿐만 아니라 대중문화와 미디어라는 영역을 좌파운동의 중요한 전장(戰場) 중 하나라고 보는 시각을 평가절하해왔다”며 비판했다.

3. 또한 데이비드 트렌드는 본인의 저서 <문화민주주의: 정치, 미디어, 뉴테크놀로지>에서 “‘정치를 경제학이라고 협소하게 정의함으로써 급진주의자들은 공영방송, 예술 기금, 심지어 학교 교과서를 둘러싼 전투에서 자유주의자들과 보수주의자들이 주도권을 쥐도록 방기해버렸던 것이다. 이것은 왜 지금까지 좌파가 문화전쟁뿐만 아니라 미국의 정치를 둘러싼 광범위한 투쟁에서 패배해왔던가를 설명해주는 주된 이유가 된다. 정치를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이야기, 이미지, 저술활동 등의 바깥에 존재하는 것이라고 가정함으로써, 정보의 권력은 AT&T와 펜타곤에 고스란히 넘어가버렸다. 그리고 매스미디어에 효과적으로 개입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좌파 특히 학계에 있는 좌파들이 ‘주류적’ 관심사와 완전히 동떨어져있다는 일반의 인식은 기세 좋게 확산되어갔다.” 즉, 보수주의자들은 대중과의 호흡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4. 최근까지도 유리 로뜨만의 <문화와 폭발>를 복기하고 있는 내게 지금의 페미니즘을 둘러싼 논쟁, 심지어 15년간 아무 것도 변한 것이 없어 제 2의 100인 회의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그만큼 한국의 진보세력은 대중운동을 하면서도 문화의 흐름을 전혀 신경쓰지 않으며, 동시에 문화를 절대적으로 평가하며 교조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가운데 PC(Political Correct, 정치적 올바름)와 Anti-PC에 대한 논쟁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지나친 PC 도착증이 유럽 운동을 얼마나 분열시켰는지는 다음에 다루겠다)

5. 한국의 페미니스트들이 서구 페미니즘을 바라보는 ‘동경 어린 시선’은 더욱 안타깝기만 하다. 예를 들어 저항적인 록음악 중, 펑크, 하드코어 둘다 음악에 있어 어느정도 남성성이 있음은 막연히 부인할 수는 없는 것이지만, 특히나 페미니즘, 라이엇걸 무브먼트는 펑크라는 ‘삶의 태도’, ‘직접행동’으로서 라이엇걸 페스트, 걸프론트밴드 페스트 등은 물론 많은 여성주의 워크샵, 그리고 바이크메신저라는 하위문화와 결합하여 LGBT 운동에도 많은 기여를 하였다. 특히나 아니키즘을 기본 사상으로 하는 아나코/크러스트 펑크와 그라인드코어라는 하위 문화가 말이다.

5-1. 이는 80년대 말, 90년 대 초부터 L7, Bikini Kill, Le Tigre 등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퍼져나갔으며, 대중문화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페미니스트로서 이 역사적인 사건들을 모르고 운동한다는 것은 사실 나로서는 도저히 믿기 어렵다.

6. 이 하위문화가 가져다주는 변화의 증거는 바로 이슬람 펑크 ‘Taqwacore’를 보면 알 수 있다. ‘Taqwacore’ 씬내에서는 무슬림 내에서 일어나는 차별에 반대해 여성들이 펑크, 하드코어 공연장에서 히잡을 벗어던지고, 남녀가 함께 슬램을 하며, 남성 펑크들이 이 여성들의 권리를 지원한다. 기독교인들이 성경책 들고 무슬림들에게 남녀 평등의 중요성을 설교하는 식의 계몽주의를 넘어서서 스스로 학습하고, 스스로 권리의 주체가되는 훨씬 강력한 하위문화운동이 되었다. 미국이 아랍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알카에다를 잡겠다며, 빌어먹을 폭탄을 아랍에 떨어트릴수록 그 빌어먹을 자유와 평화를 거부하고, 여성차별을 당연시 하던 문화가 자발적으로 여성차별을 반대하는 문화로 발전한 것이다.

7. 환기 시키면서 다른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갱스터 랩퍼들은 진짜 총을 들고 다니면서 상점을 털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갱스터 랩퍼들은 랩퍼 송민호가 했던 랩보다 더 심한 비유나 직설화법들을 통해 남성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랩퍼 송민호는 코카인을 하지도 않고, 대마를 피우지도 않는 반면에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갱스터 랩퍼들은 대마는 물론, 코카인 쯤은 아무렇지도 않게하고, 성매매가 불법임에도 길거리 매춘부들을 사서 마약, 섹스파티 했던 이야기를 자랑처럼 늘어놓는다. 어릴 때 마약 딜러, 혹은 마약 딜리버리 같은 범죄를 저지르다 친구들이 총 맞고 죽은 이야기도 태연스럽한다.

7-1.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락스타 밴드들도 그랬다. 80년대 팝메탈(LA메탈) 밴드 머틀리 크루 같은 수 많은 밴드들의 경우는 실제로 부인들을 뒤 투어버스에 태우고 자신들의 버스에는 그루피들과 매춘부로 가득 채운채 코카인을 흡입하며 “온동네 여자들을 다 따먹겠다” 하면서 전미투어를 돌았다. 그러면 그럴수록 사람들은 더 열광했다. 그 중에는 실제로 그런 삶을 즐기고 싶지 않지만, 밴드의 저항성을 남성성과 혼합하여 보여주는 캐릭터로 했기 때문에 그런 채 해야했던 밴드들도 있다.

7-2. 그리고 신디 로퍼는 ‘집-공장’의 싸이클을 반복하는 공장 소녀들에게 힘을 불어주며 “소녀들은 단지 좀 놀고 싶은 것뿐”이라고 노래를 했다. 이 노래를 들은 소녀들은 일 끝나고 부모님의 통제를 떠나 밤 늦게 남자들과 질펀하게 놀 기회를 달라고 부르짖었다. 실제로 남자들과 질펀하게 노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소녀들의 자신들의 의지로 무엇인가 선택할 권리를 이야기하는 것이었다.

7-3.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남녀를 막론하고 많은 록스타들이 어떤 문화를 향유했다. 맞다, 시대가 변했다. 오늘은 85년이 아니라, 2015년이다. 하지만 그 밴드들은 지금 무얼하고 있을까? 나는 여기서 어떤 성관념의 벽이 우리 사이를 가로 막음을 느낀다.

7-4. 오늘 홍대 앞 라이브 클럽에서 공연이 끝난 직후 화장실에서 남들 모르를 질펀펀한 섹스를 하고 싶어하는 관객은 몇이나 될까? 아니, 로큰롤을 상징하는 손모양을 치켜 세우며 “섹스, 드럭, 로큰롤”을 외치는 한국 락페스티발의 관객들 사이에서 과연 페스티발 캠핑장에서 하룻밤 섹스를 즐기는 관객은 전체의 몇이나 될까.

7-5. 우드스탁, 글래스톤베리 등등의 ‘사랑, 평화, 섹스, 마약’ 그런 기호가 가득한 락페스티발을 동경하고 있다. 현실에서는 조금도 그러지 못하고 있을 것이다. 아마도 현실에서 이들은 차라리 ‘록음악에 반대하는 기독 부모협회’ 피켓을 들고 다니는 쪽에 가까운 사람들처럼 법을 잘 지키고 살 것이다. 우리는 마릴린 맨슨이 온 몸에 피칠갑을 하고, 여성형 유방을 달고 나와도 놀라지 않고, 오히려 환호를 한다. 그 피가 가짜 피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만약 마릴린 맨슨이 피칠갑이 아니라, 스님이나 목사님 같은 행색으로 목탁을 두들기며, 찬송가를 부르며, “이웃을 사랑하세요”, “친구에게 상처주지 마세요”, “반정부 운동은 나빠요, 주님의 힘으로 이겨냅시다~” 했다면, 우리는 아마 지금 마릴린 맨슨의 이름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8. 7의 이야기는 잊어도 좋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운동이 문화를 잃어버리고 오로지 계급적 갈등이나 차별에만 포커스를 둘 경우, 범-개혁, 진보 진영 내부에서조차 사람들 간의 충돌이 불가피해진다. (어떤 사람들은 아마 지금쯤 사회당의 덕후위원회를 잊지않고, 떠올릴 것이다) 저항문화 진영의 밴드들이 남근주의적 마초맨 기질을 갖고 있다거나 청소년이 밴드를 하는 이유엔 ‘남자다움’이라는 동기가 내재돼있다고 보는 관점은 그런 충돌의 가능성을 더욱 크게 시사한다. 이에서 그치지 않고, 인종, 지역, 성별 등을 위시로한 문제와도 충돌할 것이다. 나아가서는 세상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조차 잃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저항 문화 자체가 갖는 역동성과 남성성을 완전히 배제한다는 것은 사실 이상한 일이다.
사람마다 다른 투쟁방법을 갖고 있겠지만, 나는 집에서 ‘세월호 특별법을 제정시켜주세요’ 하고 다소곳이 앉아 홀로 기도하는 것보다 나는 길거리에서 더 소리높여 “세월호 특별법을 제정하라! 관피아, 범죄자들을 처벌하라!” 라고 하는 것이 유효한 저항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9. 레니 브루스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너무 길어지겠지만, 잠시해볼까 한다. 레니 브루스는 음담패설하고, 미정부 욕을 공공장소에서 공개적으로 시작한 사실상 첫 스탠딩 코메디언이었다. 이 때문에 FBI는 그의 모든 공연을 쫒아다니며 F-word와 C-word를 빌미로 음란공연죄라며 수갑을 채웠다. 실제로 그는 자지, 보지를 수시로 내뱉는 걸판진 코메디언이었다.
그렇게 말할 자유를 잃어버린 그의 말년은 불후했다. 코메디언인 그는 문학이나 신문이 아닌 법전을 말년 내내 끼고 살았고, 그는 승리를 보지 못한채 외롭게 죽어버렸다. 그러나 사후 2002년, 미 대법원은 그가 없었다면 미국의 건국이념인 자유, 그 중에서도 표현의 자유를 제약 받았을거라면서 그에게 사후승소라는 선물을 안겨주었다.

9-1. 대표적인 미국 스탠딩 코메디언 루이ck, 죠지칼린, 빌 힉스, 크리스 락은 물론이고, 여성 페미니스트 코메디언 레나 던햄, 사라 실버만이 지금 자신들의 권리를 행사하며 발언할 수 있는 이유가 레니브루스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라 실버만 같은 여성 코메디언이 코난 오브라이언 쇼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해 자신의 가랑이 사이 위에 보지를 상징하는 입모양 사진을 올려두고 코난을 곤란하게 하는 코메디도 하지 못했을 것이다. 아마 레니 브루스가 없었다면, 여성 코메디언이 자신의 가랑이 사이의 상징적이기만 한 가짜보지 퍼포먼스를 했다는 이유로 감옥 신세를 졌을지도 모른다. 이외에도 사라 실버만은 SNL에서 상반신 탈의하는 단막극을 선보인바 있다.
(Sarah Silverman’s Dirty Smartphone Hack – CONAN on TBS *자막있음: https://www.youtube.com/watch?v=YwE8LBREwEM)

10. 랩퍼 송민호의 랩이 굉장히 저열하기야 하지만, 그것을 있느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이야기는 곧 호러펑크, 싸이코빌리, 고어-, 포르노그라인드코어, 블랙-, 데쓰메탈 뮤지션들은 다 강간범에 연쇄살인후 시체강간하는 사람들이고, 림프비즈킷이랑 콘 류의 얼터너티브 메탈 밴드들은 다 포주라고 말하는것과 다를바 없다. 실제로 얼터너티브 메탈은, 누 메탈로 불리기도 하면, Pimp rock(포주 락)이라는 이름도 갖고 있다. 흠, 판단은 당신에게 맡기겠다.

10-1. 다만 유엔 산하 인권재판소에서는 이미 “표현의 자유는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지거나, 무해 또는 무관심하다고 생각되는 정보와 사상뿐 아니라, 해롭거나 충격적이거나 불안케 하는 정보와 사상에 대하여도 효력이 있다”라고 판결 내린바 있다. 특정 상황에 맞도록 편의상 제약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란게 아니란 것이다.

10-2. 하지만 미국은, 유럽은 선진국이니까 알아서 잘 조절할 수 있으므로 표현의 자유를 무제한으로 줘도 되지만, 한국인은 아직 표현의 자유를 다룰만큼 국민성이 성숙하지 못하므로 차별을 줘야 한다는 것은 마치 박정희를 떠올리게 하고, 리콴유를 떠올리게 한다.
“외국은 모르겠지만, 한국은 아직 이른 문화야.” 라는 식은 조금도 이해하기어렵다. 한국은 표현의 자유도 보장 받기 아직 이르고, 민주주의도 보장 받기 아직 이르다는 것과 동의어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으로는 10년 뒤의 한국도 달라질 것이 없을 것이닫. 우리 한국인에게는 갱스터랩도, 호러펑크도, 그라인드코어도, 블랙메탈도 이르고, 그래서 그런 인디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보다 훨씬 소수인 lgbt의 권리 보장은 더욱이 아~~~~~~~ 주 이른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 서구에서도 보면 그런 인디음악, 하위 문화들이 페미니즘, lgbt 운동을 격렬하게 지지하며 지금의 위치로서는 기폭제이기도 했지만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말하건데, 송민호의 랩는 내 귀에는 너무 지루하고, 가사 또한 저열, 조악하다는 것은 틀림 없는 사실이다.

11. 얼마 전에도 했던 이야기다. 남녀간 권력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앞선 선례들을 보면 여성을 피해자 프레임에서 권리의 주체로 놓으려는 수 많은 노력들이 있었다. “여성이 피해자가 아니다” 라는 말이 아니다. “여성은 약자가 아니며, 동등한 권리의 주체다 ” 라는 인식을 여성과 남성 모두가 가져야 한다는 겁이다. 여성을 피해자 프레임에만 가두면 결국 여성은 스스로를 약자 의식을 갖게 됨은 물론, 남성도 여성을 약자, 동정의 대상으로만 바라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여성이 권리의 주체가 되는 것과는 거리가 생긴다.

11-1. 피해를 토로하는게 정치적 주체의 행동이 아니란 말이 아니다. 당연히 필요한 일이지만, 여성이 능동적인 권리의 주체, 가령 위에서 뉴욕의 페미니스트 여성들이 하고 있는 토플리스 운동이라던가 노브라 운동 같은 여성 스스로의 운동이 생기지 않으면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다.

11-2. 때문에 여성을 피해자 프레임에 가두는 것은 15년 전과 같은 길을 밟겠다는 것이다. 제2의 100인회를 만들자는 것도 사실 아무 의미 없다. 15년 동안 여성이 피해자의 프레임 이외에 능동적인 권리의 주체가 한번도 되본 적도 되려고 해본 적도 없기 때문. 여성이 피해자 프레임에 갇힐수록 여성은 자연스럽게 ‘보호받아야할 대상’이 되고, 이는 마초이즘의 지지하는 한 축이 되기까지 한다.

11-3. 뉴욕의 여성 페미니스트들이 펑크, 아나키스트, LGBT, 바이크 메신저와 같은 하위문화의 지원을 받아 공공장소에서 토플리스 책읽기를 하는 운동을 벌인지 5년이 지났고, 이제는 단지 하위문화의 전유물이 아니라 할만큼 지지세력이 커져가고 있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바로 얼마 전부터 여성들이 노브라 운동을 하는 등의 여성이 권리의 주체가 되는 행동들을 만들어가고 있다. 오늘 한국의 페미니즘은 어떤 위치에 있는가 생각해볼 때, 피해사실을 폭로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여성이 차별 받지 않는 것이 사회의 기본 토대로서 작동하려면 여성이 권리의 주체가 되는 것만큼 페미니즘 운동에서 중요한 것은 없다. 여성은 보호받아야할 약자로서 규정 되지 말아야한다. (이 글에서 너무 반복해 이야기해 지겨울 수 있겠다)

11-4. 한국 페미니스트들이 피해자 프레임에 갇히고, 스스로 권리의 주체가 되지 못하는 일은 서구 문명에서 일어나는 여권신장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동경으로 귀결된다. 또한 이는 페미니스트들 간의 연대 또한 약화 시킬 뿐이다. 살해 당할지 모르는 위협을 무릅쓰고, 히잡을 벗고, 상의를 탈의하고 가슴을 드러내며, 여성의 권리를 외치는 아랍 페미니스트 활동가들을 보라. 한국 여성들이 너무 많은 폭력을 입고 있기에 피해자로서만 이해 받으려하고, 스스로 권리의 주체가 되길 두려워한다면 여성들이 권리를 보장 받을 수 있는 것은 없다. 단지 여성을 동정하는 남성들에게 수동적인 보호를 받을 뿐이다. 마치 밖은 위험하다는 주인의 염려와 함께 산책시 목걸이가 걸리고, 집 안에서만, 휴지를 찢고, 밥 그릇을 엎어가며 집 안을 어지를 자유를 갖게되는 새끼 강아지처럼 말이다.

00. 원래는 짧게 앞으로 어떤 글을 쓸지 이야기 하려다 의도찮게 횡~설~~~수~설~~~~~~ 길게 써버렸다. 조만간 베를린 페미니즘 활동가들의 인터뷰를 곁들여 다시 작성하는……. 내가 이 구역의 A-Social이다~~~~ 이 글은 퍼가지 말라~ 이 구역의 A-Social 김민주가 다시 쓸 것이다~~~~~ 그럼 나는 오마샤리프 선생에게 안녕을 고하며, <닥터 지바고>를 보러간다~~ 사랑이란 그런 것이다~~~~~~~

* 영상 링크는 영화 <Tank Girl>의 유명한 모래 샤워씬이다. 포티쉐드의 음악. 원한다면 영화를 공유하겠다. 페미니즘에 관심 있다면, 꼭, 꼭 봐야하는 영화! Pussy Riot을 위한 컴필, This is what feminism sounds like! 컴필도 다 보내줄 수 있음!

 

ㅡ 2015년 7월 14일 작성됨

정어리 – 183

 

“Moth”

The flies came into my room by the opened window.
Tada, tadada, the sound of flying moth to crash glass, that desperately crave to get out of my room.
The same thing as today, I am.

ㅡ With the grass bugs in my room rushing into the window fiercely.

“나방”

열린 창으로 들어온 녀석들.
나가고 싶어 닫힌 유리를 마주하고 타다, 타다다.
꼭 오늘의 나와 같은.

ㅡ 맹렬히 창으로 돌진하는 내 방 안의 풀벌레들.

 

ㅡ 2017년 7월 13일, 오후 2시 1분

정어리 – 182

형제, 자매, 텅멍구리 여러분. 미래를 걱정하여 정작 오늘만 사는 사람처럼 행동하는 자신을 후회한들, 오늘 지금 이 순간을 포기하여 내일만 바라본다한들 그 무엇이 달라지겠습니까. 그 무엇을 탓한다고 내일 그 무엇인가 달라지겠습니까.

 

ㅡ 2017년 7월 14일, 오전 5시 11분, 무엇하랴-

정어리 – 181

H A M B U R G A N D T O D A Y

“To-morrow for the young the poets exploding like bombs, The walks by the lake, the weeks of perfect communion; To-morrow the bicycle races. Through the suburbs on summer evenings. But to-day the struggle.” ㅡ ‘Spain’ by Wystan Hugh Auden, 1937

“내일은 젊은이들을 위하여 시인들의 열정이 폭탄처럼 폭발하고, 호숫가를 걷고, 몇 주 동안 완전한 친교를 나눈다. 내일은 여름날 저녁에 교외를 통과하는 자전거 경주를 한다. 하지만 오늘은 투쟁” ㅡ 위스턴 휴 오든의 ‘스페인’, 1937년

 

ㅡ 2017년 7월 9일, 오전 12시 15분

WELCOME TO HELL – G20, HAMBURG

 

W E L C O M E T O H E L L ㅡ G 2 0 , H A M B U R G ( + 이해를 돕기위해 상당부분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함부르크는 지금 전쟁터를 방불케하고 있다. 정확한 숫자를 확인할 수 없는 수십여대의 차량들이 불타, 일부 지역은 통행이 통제되고 있고, 화염병과 투석전, 물대포, 티어가스, 그리고 강력한 서치라이트로 도로를 비추는 헬기가 함부르크 상공을 선회중이다. 여기에 극우파들(극우파 맞다, 이들의 소셜네트워크 아이디나 프로필 사진들은 교묘하게 나치를 연상시킨는 극우파들이 맞다)은 좌파들 때문에 함부르크에 내전이 생기고 있다고 시위대의 폭력을 맹비난 하고 있다.

하지만 무엇이 이 격렬한 시위를 촉발시켰는가?
그 원인에는 검찰총장과 함부르크 경찰에 있다. 검찰총장은 닥치는대로 연행하도록 지시했고, 동시에 평화행진을 하는 시위대를 향해 물대포와 티어가스를 직사로 사용하면서 시위가 격화되었다.

지금 검은 옷을 입은 시위대, ‘블록큐피’는 90여개의 시민단체가 모인 대규모 행동으로써 (오늘 함부르크에는 170여개의 시민단체가 참여하고 있음) 2001년 ‘비폭력노선’을 선언했다. 하지만 독일과 EU의 경제관료와 금융가들이 결탁해 경제위기와 금융범죄를 일으킨 주범을 처벌하기는 커녕, ‘금융구제’라는 명목으로 시민들의 돈을 투입했으며, 한편으로는 도움이 필요한 사회적 취약계층의 복지 예산을 ‘긴축안’이라는 명목으로 삭감했다. 극빈층에 대한 합법적인 살인이라는 비판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 일례로 독일정부가 자신들의 성공한 복지라며 내놓는 Hartz IV를 보면, 하르츠IV의 지원금을 받는 사람들은 다시 사회로 복귀가 불가능할 정도로 지원 받는 것이 까다로워 가정이 파탄나는 지경이고, 하르츠IV 혜택자중 자살자가 급증하고 있어 Hartz IV를 Hartz FEAR로 부르고 있을 정도. 이런 상황에 대한 개선, 응답을 사람들은 독일정부에게 (특히나 메르켈에게) 오랫동안 요구해왔지만, 외면해오며 오히려 자신들의 공적이라며 스스로 치하하는 잔치를 벌여왔다.

이것이 끝이 아니다. EU를 비롯해 G20 경제정상 주체들은 아프리카와 시리아를 비롯해 여러 국가의 난민들에 대한 여러 직간접적인 책임을 갖고 있다. 그런데도 이들은 이에 대해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일례로 EU는 지금 유럽으로 유입되는 난민들이 불어나게 되는데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데, 직접 문제해결에 나서지 않고, EU의 국경 외각, 소위 요새를 지키는 ‘프론텍스, Frontex’의 예산을 두배로 늘리는 일이 벌어졌다. 프론텍스는 바다 한가운데서도 목표물을 따라잡을 수 있는 쾌속 전투 헬기, 고성능 투시 카메라와 인공위성 및 기타 원거리 전자 감시 장치를 모두 정착한 비행대대를 갖추어 명목상 EU의 국경을 관리한다지만, 실제로는 ‘난민을 붙잡아 수용소에 가두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군사조직이다.

프론텍스는 아프리카에서 ‘수용캠프’라고 불리는 난민수용소를 운영한다. 이곳에서는 내전과 기아에서 벗어나려다 붙잡힌 차드, 통고민주공화국, 부룬디, 카메룬, 에티오피아, 말라위, 짐바브웨 등 여러 국가 출신의 난민을 한 울타리 안에 가둬 놓는다. 여기에 수용되는 난민들은 대개 여러 국경을 넘은 뒤 조금씩 해안으로 접근하기 위해 1~2년 동안 아프리카 대륙을 어렵게 전전해온 사람들이다. 그러나 1차 목적지인 해안국가에 다다를 무렵 프론텍스나 관할 지역 보조원들에게 붙잡혀, 지중해나 대서양 해안에 이르지 못한다.

프론텍스의 수용소는 어떻게 운영될까? 프론텍스는 EU의 경제적 지원으로 아프리카 지도자들에게 수용소 설치및 운영을 조건으로 ‘경제지원’이라는 명목하에 돈을 건넨다. 그 액수는 아프리카 지도자들 입장에서 거부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그 돈은 아프리카 약소국의 자원들을 EU 경제주체들이 합법적으로 수탈해 얻은 돈이다. 아프리카 난민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유일하게 수용소 설치를 거부한 나라는 아프리카 56개국 중 알제리뿐이다. 압델라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은 “우리는 캠프를 거부한다. 우리 형제들의 감옥지기가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현재 G20을 강도 높게 비판하는 부분중 하나가 “G20 – Africa for sale”로 G20 국가들이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합법적인 경제수탈을 조직적으로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치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만든 한국의 법으로 굉장히 합법적이고 조직적으로 조선, 또는 대한제국의 자원을 쉽게 수탈했던 것처럼 철도, 도로, 항만 시설들에 대한 G20의 아프리카 지원은 사실 지원이 아니라 합법적 수탈을 용이하게 만들 수단이 될 것이라 한다.

다시 지금의 함부르크 시위대, 블록큐피로 돌아와서.. 2015년 ECB는 또다시 기만적인 금융구제안과 긴축안을 내세웠고, 또한 신청사 개관식을 벌였다. 이에 90개의 시민단체가 모인 블록큐피는 14년 만에 ECB의 기만적인 금융구제와 긴축정책에 항의하며, “폭력 없이는 답도 없다”라 폭력투쟁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폭력시위에 대해 맹비난.. 이 것은 편리하게 비난하고 답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독일의 3대 학생운동이라 할 수 있는 등록금 투쟁이 2009년에 있었다. 당시 독일정부는 대학 등록금을 500유로정도 인상하려했고, 이에 25만 독일대학생들은 거리로 쏟아젼나와 대규모 등록금 투쟁을 벌였다. 학교 총장실을 점거하고, 바리케이트를 쌓고, 거리행진을 하고, 화염병과 투석전을 벌이며, 경찰차를 불태우고, 급기야 철도를 점거하며 경찰에 두들겨맞고, 연행되면서, “교육은 서비스가 아니다”라는 구호를 외쳤다. 교수들은 학생들에 연대하기 위해 거리로 나와 학생들의 수업을 진행했고, 응원했다. 결국 교육부 장관이 사과하고, “교육은 서비스가 아니라 그 사회의 미래다”라고 선언하였으며, 좌우를 막론한 정치인들 모두 등록금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우게 되었다. 그 것은 오늘 여기 독일교육의 가장 주요한 파트가 되었고, 한국 유학생들이 혜택 받는 독일 고등교육, 대학교육의 기초가 되었다.

그런 배경을 생각해볼 때, 시위대의 폭력성만 가지고 비난하는 것은 안타깝고, 어려운 문제다. 폭력시위로 격화된 주요 원인은 검찰총장과 함부르크 경찰에 있기 때문이다. 검찰총장은 닥치는대로 연행하도록 지시했고, 경찰은 동시에 평화행진을 하는 시위대에게 G20에 요구하는 응답은 커녕 도리어 물대포와 티어가스를 직사로 사용하면서 시위가 격화되었기 때문이다.

시위대가 경찰에 연행되는 어느 비디오에서는 바닥에 엎드려서 결박된, 저항 할 수 없는 시위대의 팔다리를 꺾고, 때리는 장면이 포착되었고, 또 다른 비디오에서는 시위대가 진압에 따라 뒤로 물러나고 있는데, 진압경찰이 밀어서 시위대가 높은 담에서 추락할뻔한 상황과 정신을 잃고, 옷이 거의 벗겨진 시위대를 질질 끌고 가는 장면도 포착되었다. 더욱이 이 시각 현재는 중화기로 무장한 특공대가 가정집들이 있는 건물들을 수색하고 있다고 한다.

이 시위대에게 이 사회적 비용을 어떻게 부담할테냐며 맹비난하는 ‘자칭-애국자’들에게 시위대에 연대하고, 응원하는 사람들은 “죠지 소로스에게 청구서를 보내라”, “죠지 소로스가 이 시위를 조직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함부르크의 많은 시민들과 상점들이 시위대에 연대하고, 응원하기 위해 G20 전야부터 시위대와 함께 호흡하고, 대화하며 의료및 음료와 식사를 지원하고 있다.

시위대의 폭력성을 비난하기보다 왜 수십만명이 함부르크로 몰려들었고, 전세계 수백만명의 사람들이 G20에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지를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그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은 그들이 왜 이것을 하는지에 대한 고민도 함께 선행되어야하지 않을까.

그리고 2년 뒤 오늘, G20의 의제들은 또다시 기만적인 금융정책을 구상하고 있다. 그에 항의하는 시위대, 심지어 평화행진을 하는 시위대에게 폭력을 사용하면서 함부르크 경찰은 시위를 폭력시위로 격화시켰다. 지금 함부르크 경찰의 지원요청에 따라 독일 경찰들 수천명이 함부르크로 향하고 있다. 이에 베를린, 브레멘, 라이프치히 등등의 도시에서는 또 다른 시위가 예상되고 있다.

2년 전 프랑크푸르트에 모인 2만명의 블록큐피 시위대의 폭력성을 맹비난 했던 보수주의자들에게 슈피겔의 논설위원이자 프라이탁의 편집장인 야콥 아우그슈타인의 논평으로 끝맺을까 한다. (부모님부터 슈피겔의 창립자이자 양심있는 언론인이었던 야콥 아우그슈타인은 이례적으로 5만명이 넘는 팬을 갖고 있는 언론인이다. 한국의 어떤 언론인이 떠오르기도)

“시위대의 폭력은 만장일치로 비난한다. 그러나 우리는 체제의 폭력을 무시하고 있다. 거리에서 벌어지는 시위대의 폭력은 경멸하면서, 왜 우리는 체제의 폭력은 허용하는 것일까.”

Ruptly TV – LIVE: Protesters march in Hamburg against G20 Summit: https://www.youtube.com/watch?v=wukHBVJxa04&feature=youtu.be
BuzzFeedNewsDE – Jetzt Live in Hamburg bei den #NoG20-Protesten ㅡ Hamburg, Deutschland:https://twitter.com/BuzzFeedNewsDE/status/883436032842014721
Live Stream TV News: https://www.youtube.com/watch?v=iY3UszAfj3Q

 

ㅡ 2017년 7월 8일, 오전 12시 8분, 함께 절망하기 위하여

다른 세계를 꿈꾸는 일

지방 청년도 다른 세계를 꿈꿔야

감정과잉, 방어적, 관계중심(또는 관계중독), 낮은 자존감, 열패감.. 스스로가 자율적인 주체가 되는 것을 거부하고, 비교우위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려는 태도. 혹은 자기중심적인 것과 주체적인 것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일.. 지방 대학생에 국한시키지 않고, 더 넓게 한국 청년들을 생각해보더라도 이 지점은 생각해볼 여지가 크다. 마지막 문단은 특히나.

“(지방) 청년이 갇힌 세계를 깨고 나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최 교수는 다른 집단에 들어가 새로운 타자들과 상호작용하는 체험을 넓혀야 한다고 말한다. “주어진 세계가 전부가 아니라는 걸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많이 있어야 한다. 다르게 사유하고 다른 가능성을 엿볼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대학도) 적극 도와야 한다. 좁은 가족적 연결망을 넘어 나 자신을 다양한 타자의 눈으로 대상화해보는 초월적 체험 장을 마련해줘야 지방 청년도 다른 세계를 꿈꿀 수 있다.””

 

ㅡ 2017년 7월 6일, 함께 하는 방법..

Ehe für Alle ㅡ 모든 사람을 위한 결혼

🌈🌈🌈🌈 E h e f ü r A l l e ㅡ 모든 사람을 위한 결혼: 오늘 독일의 동성혼 합법화 법안이 통과되었다
* 독일이야기에서 쓴 글(동성결혼과 동성결혼 가저의 입양을 합법화한 독일: https://goo.gl/dRvXfE)을 읽고, 이 소식을 한국에도 전하고 싶었는데,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것 같아 쉽게 풀어 봤습니다. 친ㄴ절한 ㄱㅣㅁ민ㄴ주씨! (독일에 도착하자마자부터 지난 7년간 함께 해주었더 ㄴ랩탑ㄴ닌ㅁ의 키보드가 절명의 순간으로 달리고 있습니다ㅠㅜㅜ 새로운 소식들을 듣고 싶으시다면, 김민주가 새 랩탑을 얻을 수 있도록 연대의 힘을 발휘합시다!)

독일은 동성커플과 부부에 대한 사회적 차별을 막기 위해 ‘파트너쉽’법을 통해 동성커플들의 권리를 보장하고자 해왔지만, 여전히 동성커플들은 이성커플들처럼 결혼의 권리를 보장받을 수 없었다.. 그러던 중 2015년 상원을 거친 동성결혼 허용을 위한 민법개정안을 통과시켰으며, 2017년 6월 30일, 오늘 독일 하원은 동성부부의 입양 또한 포함한 동성혼 합법화 법안을 통과시켰다. 개정절차에 따라 7월 7일 연방의회에서 대통령이 서명하게 되고, 이르면 10월 1일부터 동성결혼이 가능하게되어, 독일은 동성혼을 합법화한 스물 세번째 국가가 된다.

AFP 통신에 따르면 혼인에 대한 독일 법안은 이제 “Marriage is entered into for life by two people of different or the same sex, 결혼은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성을 가진 두 사람이 삶을 시작하는 것이다”로 읽힐 것이라 한다.

2013년까지만 해도 ‘어린이 복지’를 이유로 동성혼에 반대하던 메르켈 총리는 지난 6월 26일 여성잡지 브리짓(Brigitte)과의 공개 인터뷰(https://www.youtube.com/watch?v=9v-1W58s4e8)에서 독자의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그녀가 동성애 결혼에 대한 다른 정당들의지지를 표명하고, 자유 투표를 허용한다고 말함으로써 독일 언론에 충격을 주었으며, 오랫동안 동성혼 합법화를 주장해온 사회민주당은 즉각 투표를 요구했고, 6월 30일, 오늘 자유 투표를 실시했다.

동성혼은 대중적인 지지를 얻는가?
독일 정부의 ‘반차별기관’이 실시한 최근 ​​설문 조사에 따르면 83%의 독일인이 ‘결혼평등’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아일랜드가 2015년 5월, 동성혼을 합법화하기로 결정한 다음 날, 거의 모든 독일 신문들은 일제히 1면에 무지개를 걸고 결혼평등에 대한 중요성을 알려왔다. 녹색당 당수, 카트린 괴링은 “메르켈 부인(총리로 호칭하지 않음), 이제 시간이 다가왔다. 메르켈 당파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결혼(Ehe für Alle)’에 관한 토론에서 빠져나갈 수 없다”라고 압박했다. 대중적 지지에 메르켈과 기민당은 더이상 반대만을 할 수가 없었던 것이으며, 이번 표결의 결과에 따르면 상당수의 기민당 의원들의 찬성이 드러났다. 623석의 총 의석중, 193명의 사회민주당, 64명의 좌파연합, 63명의 녹색당만으로는 총 320표, 전체의석의 약 51퍼센트 만이 가능한 상황에서 기민당과 기사당의 310석에 국회의원들 상당 수가 동성혼 합법화에 표를 던져 찬성 393표, 약 63퍼센트의 표결로 동성혼 합법화 안건이 통과된 것이다.

이는 통독 이후 벌어졌던 동성파트너쉽에 대한 격한 논쟁 끝에 헌법재판소가 “이 파트너십이 결혼 한 부부에게 부여 된 동등한 권리를 부여받을 수 있다”고 판결및 지지하며, 실제 표결로 이어져 동성파트너쉽이 합법화된 직후 여러 우파 정치인들이 커밍아웃을 했던 15년 전을 떠오르게 한다.
또한 2009년 10월 22일, 헌법재판소는 “고용주가 자신과 등록된 파트너에게 ‘결혼하지 않은 이유’로 연금 급여를 지급 받지 못한 사건에 대해 ‘그와 그의 파트너가 결혼한 것이나 또는 파트너쉽이더라도 동일한 혜택을받을 자격이 있다”고 판결했다. 법원의 판결은 동성부부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연금 급여에만 국한되지 않고 현재 결혼한 부부에게 적용되는 모든 권리와 의무와 관련하여 요구했던 것이다.
2010년 8월 17일에는 연방 헌법재판소가 “등록된 파트너십의 생존 파트너들이 동일한 상속세 규칙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판결했다.
2014년 3월에 정부는 완전한 입양 평등을 시행할지 여부에 대한 논의와 함께 계속 채택하도록 제안된 법률을 승인했다. 의회는 완전한 입양 평등을 권고했고, 의회의 상임위원회는 이 주제에 관한 청문회를 갖었다.

사실 메르켈은 동성혼에 찬성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르켈은 동성혼을 가능케 만든 3선총리로서 역사에 기록될 것이다. 본인의 반대입장에도 불구하고 동성혼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많은 국민, 국회의원들의 동성혼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2017년 6월 30일 금요일은 지난 수 년간 투쟁해온 좌파들의 승리의 금요일이라고 한다.

이 일이 일어나게된 배경에는 총선거를 앞두고, 9월 24일에 벌어질 여론조사 때문이었다. 메르켈 총리의 연정파트너인 사회민주당은 개혁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미래의 협상안을 거부하기로 했고, 녹색당과 좌파당은 물론, 친기업 정서의 우파정당인 FDP(자유민주주의자정당)도 이에 동의했다. 반이민자, 반난민 구호를 외치며, 페기다와 같은 극우 운동과 결탁한 극우정당, 때문에 네오나치정당으로 비난받는 ‘AfD(독일을 위한 우파대안정당)’만이 지금 동성혼에 반대하는 유일한 정당이다.

유럽에서는 이미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벨기에, 스페인, 포르투갈, 룩셈부르크, 프랑스, ​​영국및 아일랜드가 동성혼을 합법화 하고 있다.

정어리 – 180

T O D A Y

We unanimously getting upset, condemn and contempt about air bubble on smartphone screen,
but why we accept and bubble on market?

 

ㅡ 2017년 6월 27일, 오늘

정어리 – 179

N E W   L I F E (in capitalism society)
New tooth brush.
New hand cream and perfume.
New cloth.
New hair cut.
New fitness club.
New monthly tickets.
New job.
New favorite cafe and cigarette.
New laptop and electronic machine.
New favorite song about you.
New habit.
New flat.
New friends.
New phone number.
And new place to be barfly.
But same behavior, same attitude, and same routine like a yesterday.
Why couldn’t you turn to New life before?
ㅡ 2017년 7월 12일, 뉴- 라이프

정어리 – 178

OMG. Fete de la musique Berlin, you are so fucking hot. You make people getting warm, and make Global-Beer-warming of refrigerator in Kiosk.

Oh dear Berlin, you are so strong. I asked to spätie about cold beer. Then he told me that just go to Bakery. I was confused a second. But I realized that I living in Berlin. Berlin’s Bakery sells beer and cigarettes.

Berlin, ich lieb dich kaputt.

 

ㅡ 2017년 6월 21일, 오후 11시 16분